우선,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둘 다 spring에서 controller를 지정하기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Controller
Spring MVC의 Controller
View 반환
<과정>
1) Client에서 보낸 요청은 DispatcherServlet을 거쳐 HandleMapping을 통해 Controller 찾고 요청 수행
2) Controller는 받은 요청을 처리하고 난 뒤 ViewName 반환
3) DispatcherServlet은 ViewReslver를 통해 ViewName에 해당하는 View를 찾아 사용자에게 반
<but Date 반환하고 싶을때>
ResponseEnity의 Body를 사용해야하는데, 이 때 @Controller와 함께 @ResponseBody 어노테이션 사용하면
JSON 형태의 데이터 반환 가능
ResponseEnity로 감싸서 객체 반
@RestController
RESTful웹 서비스의 Controller
간단하게 말하자면 @Controller + @RequestBody 합쳐진 어노테이션
JSON 형태의 객체 데이터 반환
ResponseEntity로 감싸서 반환
'SpringBoot >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uild.gradle dependencies 추가할 경우 주의 사항 (2) | 2023.12.06 |
---|---|
@Conditional 어노테이션이란 ? (2) | 2023.11.30 |
[스프링 부트] 의존성 확인하기 (0) | 2023.11.29 |
Spring Boot test 테스트시 Unable to find 오류 (0) | 2023.11.22 |
익명클래스와 람다 (0) | 202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