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설명

정수 number n, m이 주어집니다. number n의 배수이면서 m의 배수이면 1을 아니라면 0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입출력 예

입출력 예 #1

  • 60은 2의 배수이면서 3의 배수이기 때문에 1을 return합니다.

입출력 예 #2

  • 55는 5의 배수이지만 10의 배수가 아니기 때문에 0을 return합니다.

- 문제 풀이

false일 경우를 기본 값으로 주어 성공시에만 값이 변경해주었다.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 int n, int m) {
        int result = 0;
        if(number % n == 0 && number % m == 0 ){
             result = 1;
         }
        return result;
    }
}

 

- 다른 사람 문제 풀이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 int n, int m) {
        return number % n == 0 && number % m == 0 ? 1 : 0;
    }
}

 

여러 DB를 연동하면서 JDBC driver 명과 URL형식이 매번 필요해

자주 쓰는 JDBC driver를 정리해둔다

 

- Oracle

   Ddriver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URL [jdbc:oracle:thin:@localhost:1521:DBNAME]

 

- MS-SQL

   Driver [com.microsoft.sqlserver.jdbc.SQLServerDriver]

   URL [jdbc:sqlserver://localhost:1433;DatabaseName=DBNAME]

 

- MySQL

   Driver [com.mysql.jdbc.Driver]

   URL [jdbc:mysql://localhost:3306/DBNAME]

 

- MariaDB

Driver [org.mariadb.jdbc.Driver]

URL [jdbc:mariadb://localhost:3306/DBNAME]

내 서버랑 다른 윈도우 서버 연동 후 내 서버에서 연동한 서버에 접속 시도하자

connection timed out이 발생하였다.

 

연동한 서버에 연동 agent는 정상 설치 하였으나 타임 아웃발생하는 것을 보고 방화벽쪽 문제라고 추측하여

연동된 서버에서 방화벽 설정을 해주었다.

 

아래 방법으로 방화벽 오픈 후 다시 접속시 정상 접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1. 제어판-시스템 및 보안-Windows Defender 방화벽-고급설정

 

2. 인바운드 규칙 - 새규칙 

 

3. 포트 설정

 

4. TCP 선택 - 특정 로컬 포트 작성 - 다음

 

 

5. 연결 허용

 

6. 모두 선택 후 다음

 

7. 이름 작성 후 다음

 

8. 완료

[JAVA] json 파싱하기
::JSONArray, JSONObject Json 넘어오는 형태에 따라 값 추출하는 방법

restapi로 연동하다가 보면 넘어오는 리스트 형태가 다 다른데
형태에 따라 값을 가져오는 방법이 달라 초반에는 애를 먹어 정리해본다

json이 넘어오는 형태는 총 3가지이다
2번 형태가 제일 많이 넘어오는 형태이다
 
1. JSONObject : {:, :}
2. JSONArray : [{:}, {:}, {:}]
3. JSONArray  : { “key” = [{:}, {:}, {:}] }

** Str값은 restapi를 사용하여 가져온 데이터 값이다.
String str = resultdate;

1. JSONObject : {:, :}

// 예시 JSONObject : {길동:24, 상철:45}

JSONObject jo = new JSONObject(str);
String value = jo.getString("길동");

//[결과]
//24

 

2. JSONArray : [{:}, {:}, {:}]

// 예시 JSONArray : [{name:"길동",age:"44"}, {name:"상철",age:"33"}, {:}]

JSONParser jp = new JSONParser();
Object objmain =  jp.parse(str);
JSONArray ja = (JSONArray) objmain;

For (int I = 0; i < ja.size(); i++){
  JSONObject user = (JSONObject) ja.get(i);
 String name = (string) result.get(“name”);
 
 // [결과]
 // 길동
 // 상철




3. JSONArray  : { “key” = [{:}, {:}, {:}] 
 ** 2번과 차이는 JSONArray로 만들기 전에 JSONObject로 먼저 만들어 준 후,
    key값인 users를 넣어서 JSONArray를 만들어준다

 

// 예시 { “users” = [{name:”길동“,age:”24”}, {name:”상철”,age:”66”}, {:}] }JSONParser jp = new JSONParser();

JSONObject Jo = (JSONObject) jp.parse(str);
JSONObject result = Jo;
JSONArray ja = (JSONArray) result.get(“users”);

For (int I = 0; i < ja.size(); i++){
 result = (JSONObject) ja.get(i);
 String name = (string) result.get(“name”);
 String age = (string) result.get(“age”);
}

 

+ Recent posts